Personalized Gut Mucosal Colonization Resistance to Empiric Probiotics Is Associated with Unique Host and Microbiome Features, Cell, 2018.


논문의 요약을 보면


- 장내 미생물 군집은 분변 미생물 군집과 부분적으로 상관관계를 갖는다. 즉, 분변 미생물 군집을 통해 장내 미생물 군집을 이해하기에는 역부족이다.

: 이 내용은 이미 알려진 내용이다. 


- Probiotics 복합제품 (Bifidobacterium 3종, Lactobacillus 6종, Streptococcus 1종)을 4주간 복용 후 장내에서 균종이 발견되지만, 장점막(mucosa)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고 주로 내강(lumen)에서 발견된다. 또한, 장의 하부쪽 microbiota 유의하게 변화시킨다. 

- 제품을 먹인 후 약 8주간 살펴본 결과 제품 균주가 유지되는 군(permissive)과 유지되지 않는 군(resistant)으로 나눌 수 있다. 즉, probiotics 섭취 후 정착 정도는 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. 

: 다른 연구에서도 probiotics를 복용 후 약 30%정도만 장내 정착한다고 알려졌다. 실제로 제품 복용을 꾸준히 해야 효과를 보이고 장에 정착할 수 있겠지만, 아무리 먹어도 정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복용 후 효과가 없다면 과감히 제품을 변경하여 복용하는 것이 좋을 수 있다. 


- 제품 복용 후 microbiota 뿐만 아니라 다양한 transcriptome 변화가 유도된다. 

: 장내 미생물의 다양한 역할을 볼 때, 당연한 결과이다. 이 결과를 통해, probiotics의 다양한 biological effect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. 


- 이러한 host의 반응 및 변화는 permissive군과 resistant군에서 다르게 나타난다. 


연구자는 probiotics의 정착 및 그 효과가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고 설명하고, 개인 맞춤형 probiotics 개발 및 적용을 언급하고 있다. 후속연구를 통해, 나의 장내 미생물 환경을 알면 최선의 probiotics를 추천 받을 수 있는 시대가 올지 모른다. 

시중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probiotics는 그 효과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을 뿐더러 사람마다 다르다. 옆에 사는 친구가 먹고 있지만 나에게는 전혀 효과가 없을 수 있고, 내가 효과를 보았다고 다른 사람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장 할 수 없다. 

#장내미생물 #probiotics #유산균 #프로바이오틱스 #개인맞춤 #Bifidobacterium #Lactobacillus #Streptococcus







Posted by IM아이언맨 :